컴퓨터를 조금 만지신다 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책'이나 '음반'같은 것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로 생각을 할 것 입니다. 하지만, 책이나 음반 이외에도 이베이처럼 다양한 상품을 팔고 있는 종합 온라인 쇼핑몰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되실 것 입니다. 물론 아마존 매출을 이끌어가는 것은 대부분 음반이나 책이 맞긴합니다.
그런 아마존이 전자지불시스템, 스토리지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서비스를 하신다고 하면 놀라실 분들이 있으실텐데... 아마존의 개발자를 위한 서비스 중에서 S3라고 하는 매력적인 서비스가 있어서 소개드립니다.
아마존이 스토리지 서비스를?

http://aws.amazon.com/s3/에 접속해보세요. S3라고 불리는 아마존의 간단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페이지 입니다. 아마존의 호스팅 서비스가 왜 좋냐면 바로 합리적인 요금과 뛰어난 안전성 덕분입니다.
보통 호스팅 요금은 서버의 일부를 빌리거나, 서버를 전체적으로 빌려서 일단 빌린 만큼 내는 요금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리고 회선료도 정해져 있고요. 그러나 아마존 S3서비스는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내면 됩니다. 스토리지를 사용한만큼만 요금을 내면되고, 사용하고 있는 스토리지의 용량이 커지면 오히려 단위당 비용은 줄어들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회선 요금도, 트래픽이 많으면 많이 내고, 적으면 적게 내는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다년간, 별 문제 없이 세계 최고의 웹사이트를 운영해 온 아마존이니 만큼 그들의 시스템 관리 능력도 매우 안정적일 것 입니다.
트위터, 텀블러 등 해외사이트들은 적극적으로 이용 중...
최근 각광받고 있는 트위터나 텀블러 같은 해외의 사이트들도 아마존의 S3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본인들이 가지고 있더라도,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는 아마존에 맡기면 스토리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훨씬 절감되겠죠.

새롭게 웹서비스를 시작하는 업체들의 경우 회사의 자본이 넉넉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자분들이 덜어 줄 리소스는 개발자분들의 역량에 달려있어 그 분들의 몫이지만, 스토리지 비용이라도 이런식으로 줄인다면 회사 재정적으로도 굉장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갑자기 늘어나는 트래픽으로 서버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투자도 받기 전에 서비스가 비실대다가 넘어지는 곳도 종종 있더라구요?
제가 영어가 짧은 것도 있고 감이 잘 안오는데,
가격표를 보니 미주지역과 유럽쪽 가격만 명시되어 있네요. 그외 지역에 상주하는 업체에는 서비스가 안되는가 싶습니다. 모쪼록 영어를 잘 하시면 한 번 찔러보시고, 이런 방식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해서 서버 비용 부담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