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29일 목요일

IDE란?

SDK과 API는 대략 혼용해서 많이 쓰기도 하는데요.... 정확히 구분을 하자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운영체제 등 큰 틀에서 지원해 주는 함수의 집합군을 이야기 하구요..

 

SDK(Software Development Kit)는 주로 개발툴에서 지원이 되며 최종 개발자가 사용하기 편한 형태로 재구성한 함수집합군을 이야기 합니니다..

 

아마 Apple와 Google가 개발할때 사용하던 SDK 즉 라이브러리나 소스등을 오픈 하나보네요..

 

Visual C++을 예로 들면, Visual C++에서는 많은 SDK를 지원하는데요... 그 SDK는 API기반으로 사용하기 쉽게 재 작성된것도 많이 있죠.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는 통합개발 환경이라고 하는데요...

 

코딩을 위한 편집기, 컴파일, 링크, 디버그 등... 실행 모듈 개발에 필요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합쳐서 만들어놓은 것을 이야기 합니다..

 

위에 예로든 Visual C++이 대표적인 예가 되겠죠...

(네 님이 알고 계신 MS Visual Studio가 정확한 표현이 되겠군요...)

 

통합개발환경과 반대 되는 말이 개별개발환경이라고 하는데요...

 

혹시 유닉스나 리눅스 써보셨나 모르겠습니다..

 

보통 유닉스 리눅스에서 간단한 프로그램을 코딩할때는..

 

vi Edit로 코딩을 하고... vi Edit에서 저장을 하고... 빠져나가서..(빠져나가거나 터미널 하나 더 열거나..)

 

gcc 혹은 cc 명령으로 별도로 컴파일을 해줘야 되는것을 이야기 합니다....

Scripting Language

스크립트 언어(scripting language)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어한다.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라고도 한다. 스크립트 언어는 응용프로그램과 독립하여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응용프로그램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사용되어 최종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크립트(scripts)는 연극 용어인 스크립트에서 유래되었으며 초창기 스크립트 언어는 배치언어(batch languages) 또는 작업 제어 언어(job control language)라고도 불리었다.

CGI

사용자가 서버에게 웹페이지를 통한 요청이 있었을 때, 그것이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 될 필요가 있다면 서버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필요한 메시지를 받는다. 이 때 서버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CGI라고 한다.

2009년 10월 17일 토요일

Open ID

OpenID 란?

OpenID 는 사용자 중심 identity 를 위한 분산형 공개 표준 기술 입니다.

OpenID 는 웹사이트처럼 하나의 URI (URL 또는 주소)로 누구나 인터넷상에서 자신을 식별하게 해줍니다. URI 는 웹 아키텍쳐의 가장 핵심이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 identity 를 위한 단단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OpenID 기술의 첫번째 부분은 인증(authentication -- URI 의 소유자임을 증명하는것) 입니다. 오늘날 웹사이트들은 로긴하기 위해 사용자이름과 암호를 요구하는데, 사실 많은 사람이 같은 암호를 거의 모든곳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OpenID 인증(see specs)에서는, 당신의 이름은 당신의 URI 주소이고 당신의 암호(또는 다른 인증서)는 당신의 OpenID 제공서버(당신이 직접 운영하거나 제 3 자가 제공하는) 에만 안전하게 보관됩니다.

당신은 하나의 OpenID 로 OpenID 를 지원하는 모든 웹사이트들에 복잡한 가입 절차 없이 로긴할 수 있습니다.

OpenID 를 지원하는 웹사이트(생전 처음 방문하는 사이트라도) 에 로긴하기 위해서는, 단지 당신의 OpenID URI 만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그 웹사이트는 인증을 위해 당신을 당신의 OpenID 제공서버로 보냅니다. 일단 인증되면 OpenID 제공서버는 당신을 인증된 상태로 그 웹사이트로 돌려보내 로그인 시킵니다. OpendID 기술은 Strong Authentication 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확장된 single-sign-on 과 데이타 공유 수준 확장 등 모든 유형의 트랜젝션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OpenID 기술은 인증외에도 identity 관련 여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합니다. 최근의 OpenID 속성 교환 스펙 (see specs)을 통해서, 사용자는 그들의 identity 제공자를 통해서 어떤 정보(이를 테면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를 공유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통제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OpenID 는 사용자 중심 identity 의 사실상 표준으로 여겨지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 교류할 수 있게 해줍니다.  I Want My OpenID Bounty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개발자들은 그들의 커뮤니티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 OpenID 지원을 발빠르게 추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혹시 누가 소유하나?

아무도 이 기술을 소유하지 않습니다. 아무도 이로 부터 직접 돈을 벌려고 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이 기술의 모든 부분을 최대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아무나 무료로, 라이센스 없이, 어디에 등록할 필요도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결국 인터넷 커뮤니티 전체를 위한 것이며 우리는 모두 이 커뮤니티의 일부분입니다.

나도 동참할 수 있을까요?

OpenID 의 현재 상태와 다양한 노력을 파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the mailing lists 를 읽어 보시는 것입니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Heraldry project 를 보시면 미래의 OpenID 에 대한 참고가 되실 것입니다.

(이 사이트는 OpenID 커뮤니티의 허가를 받아 운영하는 openid.net 의 한글판 입니다.)

 

 

http://www.openid.co.kr/

지오 태깅(geo tagging)

지오 태깅은 컴퓨터 파일에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함께 덧붙여 주는 것을 뜻합니다. 주로 사진파일에 주로 사용되는 이 기능은 사용자가 GPS기능을 가진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로 촬영한 사진의 촬영위치를 사진파일의 교환이미지파일형식(EXIF)에 기록해 줍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나중에 사진을 촬영 장소별로 정렬할 수도 있고, 구글어스와 같은 웹서비스와 연동해 지도상에 사진을 나열할 수도 있습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발달하면서 외국계 웹서비스업체는 지도서비스와 사진서비스를 연동해 지도검색시 그 지역에서 찍은 사진을 함께 제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움직임도 있습니다.